본문 바로가기
경제정보

주식 투자에서 자주 사용하는 핵심 용어들을 정리

by yoonhyun1 2025. 3. 11.

주식투자에 자주 사용하는 용어

1. PER (Price Earnings Ratio, 주가수익비율)

공식:

PER=주가EPS(주당순이익)PER = \frac{\text{주가}}{\text{EPS(주당순이익)}}

의미:

  •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나타냄.
  • PER이 높으면 시장에서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이고, 낮으면 저평가되었거나 성장성이 낮다는 의미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성장주(미래 성장 기대가 높은 기업)는 PER이 높고, 가치주(저평가된 기업)는 PER이 낮음.
  • 시장 기대감에 따라 변동성이 큼.

2. PBR (Price to Book Ratio, 주가순자산비율)

공식:

PBR = \frac{\text{주가}}{\text{BPS(주당순자산)}

(BPS는 기업의 순자산(자본총계)을 주식수로 나눈 값)

의미:

  •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(장부가치) 대비 몇 배로 거래되는지 보여줌.
  • PBR < 1이면 주가가 순자산보다 낮아 저평가된 것일 가능성이 있음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기업이 보유한 자산 대비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하는지 보여줌.
  • 저평가된 주식 발굴에 유용.

3. EPS (Earnings Per Share, 주당순이익)

공식:

EPS=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EPS = \frac{\text{당기순이익}}{\text{발행주식수}}

의미:

  • 한 주당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.
  • EPS가 높으면 회사의 이익성이 좋다는 의미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EPS가 증가하면 주가 상승 요인.
  • EPS가 감소하면 주가 하락 가능성 증가.

4. ROE (Return on Equity, 자기자본이익률)

공식:

ROE=당기순이익자기자본×100ROE = \frac{\text{당기순이익}}{\text{자기자본}} \times 100

의미:

  • 자기자본(자산 - 부채)을 활용해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보여줌.
  • ROE가 높을수록 경영 효율성이 좋다는 의미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ROE가 높으면 기업이 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신호 → 주가 상승 요인.
  • ROE가 낮으면 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질 가능성 → 주가 하락 요인.

5. 시가총액 (Market Capitalization)

공식:

시가총액=주가×발행주식수\text{시가총액} = \text{주가} \times \text{발행주식수}

의미:

  • 기업의 전체 시장 가치.
  • 대형주, 중형주, 소형주 구분 기준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시총이 크면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평가됨.
  • 시총이 작은 기업은 변동성이 큼.

6. 액면가 (Face Value)

의미:

  • 주식을 발행할 때 정해지는 1주당 기본 가치(보통 500원, 1,000원).
  • 실제 시장 가격(주가)과는 다름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액면가 대비 주가가 높으면 기업의 가치가 상승했다는 의미.
  • 액면분할(액면가를 낮추고 주식 수를 늘리는 것)은 유동성을 높여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.

7. 당기순이익 (Net Income)

공식:

당기순이익=영업이익+기타수익−법인세비용\text{당기순이익} = \text{영업이익} + \text{기타수익} - \text{법인세비용}

의미:

  • 기업이 최종적으로 벌어들인 순수익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면 배당 여력 증가 → 주가 상승 요인.
  • 적자(순이익이 마이너스)가 지속되면 주가 하락 가능성.

8. 영업이익 (Operating Profit)

공식:

영업이익=매출액−매출원가−판매관리비\text{영업이익} = \text{매출액} - \text{매출원가} - \text{판매관리비}

의미:

  • 본업(핵심 사업)에서 벌어들인 이익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영업이익이 증가하면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됨 → 주가 상승 가능.
  • 지속적인 영업적자는 기업의 존속 위험 신호 → 주가 하락 가능.

9. 배당수익률 (Dividend Yield)

공식:

배당수익률=주당배당금주가×100\text{배당수익률} = \frac{\text{주당배당금}}{\text{주가}} \times 100

의미:

  • 주식 투자 시 배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률.
  • 예: 배당수익률 5%이면 100만 원 투자 시 5만 원 배당금 지급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배당수익률이 높으면 안정적인 배당주로 인식 →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.
  • 무조건 배당수익률이 높은 것이 좋은 것은 아님(기업 성장성 저하 가능).

10. BPS (Book Value Per Share, 주당순자산)

공식:

BPS=자본총계발행주식수BPS = \frac{\text{자본총계}}{\text{발행주식수}}

의미:

  • 1주당 기업의 순자산 가치.
  • 주가와 비교하여 기업의 저평가 여부 판단 가능.

주가에 미치는 영향:

  • BPS보다 주가가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.
  • 반대로 BPS보다 주가가 너무 높으면 고평가된 상태일 수 있음.

정리

용어공식의미주가 영향

PER 주가 ÷ EPS 주가가 순이익의 몇 배인지 높으면 성장 기대, 낮으면 저평가
PBR 주가 ÷ BPS 주가가 자산 대비 몇 배인지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
EPS 순이익 ÷ 주식수 주당 순이익 EPS 증가 시 주가 상승 가능
ROE 순이익 ÷ 자기자본 자본 대비 수익성 ROE 높으면 주가 상승 가능
시가총액 주가 × 발행주식수 기업의 전체 시장 가치 대형주일수록 안정적
액면가 발행 당시 설정한 기본 주당 가치 시장 주가와 무관 액면분할 시 유동성 증가
당기순이익 영업이익 + 기타수익 - 법인세 최종 순이익 증가 시 주가 상승 가능
영업이익 매출액 - 비용 본업에서 벌어들인 이익 증가 시 주가 상승 가능
배당수익률 배당금 ÷ 주가 배당금 대비 투자 수익률 높으면 안정적 투자 매력
BPS 자본총계 ÷ 주식수 주당 순자산 가치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